암호 6

[논문 정리] Anonymous Credentials

Paper : Delegatable Anonymous Credentials from Mercurial Signatures 1. 소개 - Anonymous credential(익명 크리덴셜) : 익명 크리덴셜이 user(사용자)가 issure(발급자) 가 발급한 '자격증명 집합의 소유' 증명 가능 하게 함 - anonymous(익명성) : user(사용자)의 증명이 영지식, 자격증명 익명으로 얻을 수 있음. ; issure가 자격증명 발급시에 user의 신원 알 필요 없음. - 기존 익명 크리덴셜 문제 접근 권한 제공자가 issure의 공개키 앎 -> user의 정보 드러남 user의 개인정보 보호가 되지 않음. - 위임 가능한 익명 크리덴셜 ... [ 상황 ] - CA ->(자격증명 발급받음) Alice..

암호/논문 2022.08.01

[암호구현] AES

** 구현은 연습중이니 참고하지 마세요 [ 구조 ] - SPN 구조 안전성 파라미터 키 길이 블록 크기 라운드 수 128 128 128 10 192 192 192 12 256 256 256 14 - AES는 128을 주로 쓴다 함. SubByte - 입력값을 바이트 단위로 쪼갬 - 128비트 = 16 바이트 - state : 16byte -> 4byte x 4byte 행렬로 표현 - S-box 연산 (테이블 참조) ShiftRow - state 값의 각 행을 시프트 연산 MixColumn - state 값의 각 열에 4x4 행렬을 곱해주는 연산 AddRoundKey - 라운드 키 값을 각 바이트에 xor 해줌 AES KeySchedule - 128bit 키 -> 4byte word로 쪼갬 (4개) - R..

[암호이론] 공개키 암호, 전자서명 차이

- 전자서명 : 해답(비밀키) 알고있음을 메시지에 대해 지식증명 - 전자서명 검증 : 증명이 올바름을 확인 # 메시지 부과형 m -> (m, 서명) ex) ELGamal 전자서명(이산대수 파라미터), 슈노르 전자서명 # 메시지 복구형 m->서명(서명 내부에 메시지 포함) ex) RSA 전자서명(정수 인수분해 문제 파라미터 기반) ** 개인키로 암호화 한다는 설명 맞지 않음. [ encryption / signature : 차이 ] - 공개키 암호 시스템 : 메시지 암호화 하여 비밀성 유지하는 목적 복호화 하여 정당한 수신자에 해당되는 공개키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가지고 있는 사람만 복구해서 메시지 내용 파악. 수신자가 개인키를 관리하는 주체임. 송신자가 수신자한테 메시지(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를 보내는..